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8

[iOS] Swift 공부 - 9 ▶ 인터넷에서 앱을 받으면 기본적으로 프로젝트 창을 띄워 맞는 환경을 설정해줘야 한다.   ▶ AppDelegate.swift UIApplicationDelegate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클래스이다. 이 프로토콜에는 앱의 상태 변화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가지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다.  ▶sceneDelegate.swift UISceneDelegate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클래스이다. 이 프로토콜에는 scene의 상태 변화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가지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다.  ▶버튼의 이벤트를 확인   ▶ Command Inspector로 연결을 확인한다. (ViewController를 누르고 확인해야 한다.)   ▶LaunchScreen 이 파일에는 LaunchScreen에 표시할 이미지, .. 2023. 11. 13.
[iOS] Swift 공부 - 8 ▶ Toggle keyboard   ▶ 간단한 디자인 실습    ▶ X-Code는 기존에 연결된 것들을 기억하고 있다 (주석 처리 했을지라도)   ▶ X-Code는 기존에 연결된 것들을 기억하고 있다 (주석 처리 했을지라도)   ▶ Launch Screen 세팅  ▶ ICON 세팅  ▶ Aspect Fit으로 영역 세팅    ▶ +, - 버튼으로 숫자 조절 2023. 11. 6.
[iOS] Swift 공부 - 7 ▶ Mac의 키보드   ▶ XCode 실행 (for in 예제)   ▶ XCode 화면구성   ▶ 기본 실습 2023. 10. 30.
[iOS] Swift 공부 - 6 ▶클래스 vs 객체 vs 인스턴스 -클래스(Class)'청사진'이나 '템플릿'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라는 클래스를 만들면 이것은 자동차가 가져야 할 속성(색상, 브랜드 등)과 메서드(주행하기, 멈추기 등)를 정의한다. 하지만 클래스 자체는 아무런 데이터도 가지고 있지 않는다. -객체(Object)객체는 클래스에 의해 생성된 실체이다. 위의 예시에서 볼 때, 특정 브랜드와 색상을 가진 실제 자동차가 바로 객체이다. -인스턴스(Instance)인스턴스 역시 클래스에 의해 생성된 실체를 말하지만, 이 용어는 보통 그 객체가 메모리에 할당되었을 때 사용된다. 즉 "인스턴스화하다"라고 말할 때는 특정 클래스의 객체를 메모리에 생성하고 초기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객체지향의 용어 비교이론설.. 2023. 10. 16.
[iOS] Swift 공부 - 5 ▶ Argument Label vs Parameter Name -Parameter Name함수의 선언부에서 사용되는 이름을 말한다. 이 이름은 함수 내부에서 해당 매개변수 값을 참조하는 데 사용된다.def greet(name): # 여기서 'name'이 parameter name이다. print(f"Hello, {name}!") -Argument Label일부 프로그래밍 언어(특히 Swift와 같은 언어)에서는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로 전달되는 값에 라벨을 붙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Argument Label이다. 이렇게 하면 코드를 읽고 이해하기가 더 쉬워진다.func greet(person name: String) { // 여기서 'person'이 argument label, 'name'이.. 2023. 10. 16.
[iOS] Swift 공부 - 4 ▶ 함수 -함수(function)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이다.-입력 값을 받아들이고, 해당 값을 기반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함수는 재사용 가능하며, 여러 번 호출될 수 있다.-일반적으로 이름, 매개변수(parameter), 반환 타입(return type)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메서드 -메서드는 객체(object)나 클래스(class)에 속한 함수로, 특정 객체의 동작을 정의한다.-객체 내부의 상태(state)에 접근하여 변경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메서드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주로 사용되며, 해당 클래스나 구조체(structure) 등에 종속된다.  ▶ if let vs guard let -if let이 임시 상수는 if 문의 내부 스코프(블록.. 2023.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