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8

Swift - Delegate란? ▶ Delegate가 뭘까?한 객체가 다른 객체의 행동이나 상태 변화를 대신 처리하도록 위임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이 패턴은 두 객체 간에 느슨한 결합(의존성을 최소화)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데, 쉽게 말해 Delegate는 어떤 객체가 스스로 처리할 수 없는 일을 다른 객체에 맡기는 방식을 뜻한다.  ▶ 예를 들어보면당신이 어떤 중요한 일을 해야 한다고 해보자. 그런데 그 일을 당신 혼자 하기 힘들거나 적절하지 않을 때, 친구에게 그 일을 대신 해달라고 부탁할 수 있는데, 이때 당신은 Delegate(위임자)가 되고, 친구는 Delegate(대리자)가 된다. Swift에서 이런 개념은 주로 이벤트가 발생할 때 그 처리를 위임할 때 사용돼. iOS에서 버튼을 클릭했을 때, 스크롤을 할 때, 네트워.. 2024. 9. 11.
아무래도 좋아 기억 속 그 노래는 정말 특별했다. 남들은 잊혀진다고 하지만 결코 사라지지 않을 그 멜로디를 나는 평생토록 연주할 수 있을 것 같이 날마다 흥얼거린다. 시간이 흘러도 바래지 않는 그 선율에 여전히 빠져들고 있다. 2024. 8. 22.
데이터베이스 - MySQL DCL https://181022.tistory.com/64 데이터베이스 - MySQL DDL이번 시간에는 Mysql의 DDL에 대해 알아보자  ▶ DDL이 뭘까?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다. DB(데이터베이스)에 어떤 테이블을 만들지, 그 테이블에 어떤 컬럼(열)을 만들지 등을 정의할181022.tistory.com이전 DDL 설명에 이어 이번엔 DCL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다.  ▶ DCL이 뭘까?데이터베이스에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특정 사용자에게 DB(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DCL의 주요 명령어는GRANT(권한 부여하기), REVOKE(권한 회수하기)가 있다.  ▶ 당장 사용해보자GRANTGRANT 명령어는 .. 2024. 8. 6.
데이터베이스 - MySQL DDL 이번 시간에는 Mysql의 DDL에 대해 알아보자  ▶ DDL이 뭘까?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다. DB(데이터베이스)에 어떤 테이블을 만들지, 그 테이블에 어떤 컬럼(열)을 만들지 등을 정의할 수 있는 DDL의 역할은CREATE(만들기), ALTER(수정하기), DROP(삭제하기), TRUNCATE(데이터 비우기)가 있다.  ▶ 하나씩 살펴보자CREATECREATE 명령어는 새로운 DB나 테이블을 만들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새로운 학생 정보를 저장할 테이블을 만들어 보겠다.'SchoolDB'라는 이름의 DB를 만드는 명령어이다.CREATE DATABASE SchoolDB; 다음은 'Students'라는 이름의 테이블을 만들고, 그 테이블에 'StudentID', 'Name', 'Age',.. 2024. 8. 6.
용어 설명 - 인터페이스(Interface) 이번 시간에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객체 지향 프로그래밍(흔히 말하는 OOP)에서 중요한 개념인데, 개인적으로 가장 이해하기 쉬운 일상적인 비유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인터페이스(Interface)먼저 인터페이스가 무엇이냐.여러 클래스가 따라야 하는 규칙이나 계약서를 의미한다. (클래스의 의미가 헷갈린다면 아래 포스팅을 먼저 보고 오도록)https://181022.tistory.com/62 용어 설명 -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 (Class, Object, Instance)개발 공부를 하다보면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라는 용어에 대해 심심치 않게 듣게된다.여기저기 붕어빵 비유로 배를 채워가며 이해하려 애썼지만 쉽진 않더라.. 오늘은 이 세가지 용어에 대해181022.tistory.com 이 .. 2024. 8. 5.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 (Class, Object, Instance)의 개념 개발 공부를 하다보면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라는 용어에 대해 심심치 않게 듣게된다.여기저기 붕어빵 비유로 배를 채워가며 이해하려 애썼지만 쉽진 않더라.. 오늘은 이 세가지 용어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먼저 클래스(Class)객체지향 프로그래밍(흔히 말하는 OOP)의 개념 중 하나로,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청사진(설계도)이다.이 설계도에는 집의 구조, 방의 수, 창문의 위치와 같이 모든 것이 상세하게 나와있다. 다음은 객체(Object)객체는 설계도(Class)를 따라 실제로 지어진 집이다.여기서 알아두어야할 점은 같은 설계도를 사용해서 여러 채의 집을 지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동네에 같은 구조의 집이 여러 채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집들은 모두 동일한 설계도(Cl.. 2024.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