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8

NextJS - NextJS 수동설치 하는 방법 오늘은 NextJS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자동, 혹은 수동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 중 수동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먼저, 터미널에서 Document나 설치하고 싶은 위치로 이동하여 mkdir명령어를 사용해 폴더를 생성해준다. 본인은 nextjs-setting로 설정mkdir (원하는 폴더명)  생성한 폴더로 이동cd (생성한 폴더명)  생성한 폴더로 이동하였다면 해당 위치에서 code .를 입력해 vscode를 띄워주면 된다.code .  혹시 여기서 code .를 입력했는데 'command not found' 응답을 받게 된다면 당황하지 말고, vscode에 들어가 커맨드 파레트 (cmd+shift+p)를 열고 Shell Command: Install 'c.. 2024. 10. 25.
GitHub - 누락된 잔디 심기 깃허브 프로필을 꾸며볼까 생각하던 와중,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삐쩍 마른 잔디 상태였다.차마 두고볼 수 없는 마음에 열심히 구글링을 해본 결과, 대부분을 차지하는 원인은 다음의 두 가지였다. 1. github 이메일 계정과 로컬 이메일계정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아 발생2. 내가 작업한 내용이 merge되지 않을 때 위 내용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merge도 올바르게 됐고, 계정 정보도 일치했기 때문에, 나에게 해당되는 이유는 아닌 것 같았다.그렇게 계속 알아보던 중 다른 레퍼지토리에 푸시하더라도 동일한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면 커밋에 작성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잔디에 반영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되고, 해당 방법으로 문제 해결을 접근했다. 풀 한포기라도 소중한 누군가에.. 2024. 10. 24.
IOS - 테스트 플라이트 배포 ~ 초대코드 발송까지(TestFlight) 테스트플라이트는 Apple에서 제공하는 앱 테스트 플랫폼으로, iOS, iPadOS, watchOS, tvOS 등의 앱을 배포하기 전에 사용자들에게 베타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이다. 사용자들에게 배포하여 실제 사용 경험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자가 예상치 못한 버그나 UI/UX 문제들을 사용자들이 발견하고, 피드백을 통해 개선하고, 이를 통해 정식 출시 전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플랫폼이다. 오늘은 그동안 열심히, 공들여 만든 앱을 테스트플라이트에 올려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이전에 배포가 되었던 앱이라면 테스트플라이트에 업로드하기 전에 버전을 업그레이드 해줘야 한다.Xcode에서 프로젝트 설정으로 이동하여, General탭의 Version.. 2024. 10. 8.
지나간 빛들 사이 버스를 타고 한강을 건너던 중, 문득 창밖에 환한 불꽃이 눈에 들어왔다. 이맘때 불꽃축제가 열린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우연히 보게 되다니 적잖이 놀랐다. 특별히 관심을 두지 않음에도 여러모로 추억이 많은 행사라 그런지 깊은 감정이 일렁이지 뭔가. 대교를 지나 불꽃은 더 이상 볼 수 없었지만 폭죽 소리가 희미해지기까지, 지난 감상에 한참을 머물렀던 것 같다. 찰나 가운데, 오래도록 기억될 순간을 선물 받은 감사한 하루였다. 2024. 10. 6.
빌드(build)와 실행(run), 어떤 차이가 있는 거예요? 개발을 하다보면 단순히 Build와 Run이 비슷한 기능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Build는 준비하는 과정이고, Run은 그 결과를 실제로 보여주는 과정이다.예를 들어, Xcode, Visual Studio, Eclipse 같은 IDE에서 작업할 때, 빌드 버튼을 눌렀을 때는 코드를 컴파일하고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 하지만 Run 버튼을 누르면, 이미 빌드된 실행 파일이 실행되는 것이다.단순히 설명했을 땐 위와 같은 의미를 지니며, 더 나아가 둘의 차이에 대해 명확하게 짚고 넘어가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1. 빌드(Build) 과정1.1 소스 코드예를 들어, C 언어로 “Hello, World!” 라는 코드가 작성되어 있다고 하자.#include int main() { printf("Hell.. 2024. 10. 3.
IOS - CocoaPods(Podfile)와 Swift Package Manager(SPM)의 차이 두 도구는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사용 방법과 통합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춰 작업해야 한다.    1. CocoaPods (Podfile)CocoaPods는 외부 라이브러리를 쉽게 추가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며, Podfile이라는 파일에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명시한다. 사용 방법 - 터미널에서 pod install 명령어로 라이브러리를 설치 - .xcworkspace 파일로 프로젝트를 연다.  대상 - Swift와 Objective-C 둘 다 지원  장점 - 많은 라이브러리가 지원되고, 설정이 간단하다. 단점 - 별도의 작업 공간 파일(.xcworkspace)을 사용해야 함    2. Swift Package Manager (SPM)SPM은 Apple이 만든 패키지 관리 도.. 2024. 10. 3.